JTBC 금토드라마 허쉬 뜻 등장인물 관계도 황저인 윤아 경수진

허쉬

편성:JTBC 2020.12.11

(금.토) 오후 11:00

시청률:2.3% 닐슨코리아 제공

큐대 잡는 날이 많은 고인물 기자와 밥은

펜보다 강하다는 생존형 인턴의 쌍방

성장기이자 월급쟁이 기자들의

밥벌이 라이프를 그린 드라마

 

허쉬소개

 

월급쟁이 기자들의 밥벌이 라이프

 

"밥은 펜보다 강하다"

이 말이 틀렸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과연, 먹고 사는 문제보다

소중한 가치가 있을까? 

청치,이념,사상,종교,신념...세상에 모든

가치 중에 단언컨대, 내 가족을 먹여

살리는 일보다 값진 일은 없다.

 

드라마 는 자극적인 가짜가 점잖은 진짜보

다 우월해진 언론 불신 시대에 언론인이기

이전에'사람'으로서의 기자의 모습을 다루

고자 한다. 저널리즘의 원칙이나 저널리스

트의 사명만을 강조하는 고발성 드라마가

아니라,우리와 똑같이 생계 앞에서 작아지

지만, 그럼에도 진실을 찾아 묻고 기사를

쓰기 위해 끈임없이 자신의 삶을 시험하고

저울질하는 그들의 일상을 담담하게 그려

냄으로써 밥그릇과 생존을 위한 침묵,정의

와 양심을 위한 고발,기레기와 기자,

그 경계의 딜레마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이야기는 기레기들의 이야기지만 기레

기를 만든 나와 우리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어제 나의 잘못을 반성하고, 내일 모두에

희망을 심어주는것, 이게 오늘 우리가

써야 할 기사라는 거야. 그런데? 일단, 우

리가 반성을 몰라. 그러니 매일 같은 잘못

을 반복해도 반성이 없는 언론 신뢰도 꼴

찌인 나라, 여기 한국에 내일이 있겠어?

근데, 변명 한 마디 하자면 쓰레기가 날

떄부터 쓰레기냐는 거야? 기레기도 기레

기로 태어난 게 아니라 기레기로 만들어

졌다는 거! 누가? 왜 때문에?

 

등장인물 소개

황정민

한준혁(황정민)

40대 중반,<매일한국> 12년차 기자.

 

허구한 날 술만 마시는 한량처럼 보이지만

이래 봬도 국내 굴지의 언론사<매일한국>

의 12년차 베테랑 기자다. 기자로서 능력

은 물론 경력 체력 정신력 친화력 뭐하나

빠지는 데가 없이 완벽하다. 쉬이 잊혀

지지 않는 '그 날'의 일이 일어나지 않았

다면 아마도 준혁은 대한민국을 뒤흔드

는 핵인싸 기자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임윤아

이지수(임윤아)

20대 중반.<매일한국> 인턴.

 

허기를 이길 수 있는 가치는 없다고 생각

한다. 한평생, 자신만 바라보고 의사가 되

길 바라는 엄마에게 미안하기도 하지만

여섯 살 때부터 만화 대신 뉴스를 챙겨보

던 타고난 DNA를 어쩌랴. 일찍이 언론의

오만과 편견을 깨달았지만 툭! 하고 지원

한<매일한국>에 턱! 하니 붙어 인턴이

되었다. 쉬지 않고 달려왔던 그 이유,

이 곳<매일한국>에서

제대로 보여줄 생각이다.

 

손병호

나성원(손병호)

50대 중반.<매일한국>편집국장.

 

허드렛일에도 품격과 계급이 있다고 믿는

다. 눈에 보이지 않은 신념이나 자존심보

단 눈앞의 계산, 조직의 이익이 먼저라는

생각으로 <매일한국>의 실세가 되어

직을 관리한다. 쉬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 여기까지 올라왔는데,

여기서 멈출 수는 없다.

 

유선

양윤경(유선)

40대 중반.<매일한국>사회부 차장.

별명 양캡

 

"허 지X~"을 입에 달고 다니는 화통한 선

배이자 준혁의 정신적 지주. 남편과 이혼

하고, 착한 아들 이준과 우등생 딸 서진을

키우고 있다. 쉬크하게 달려온 삶이라

부하지만 셈이 맞지 않는 결과에

종종 글프기도 하다

 

김원해

정세준(김원해)

50대 초반.<매일한국>

디지철 뉴스2팀 팀장.

 

허리 한 번 제대로 펴지 못하고 열심히 일

했건만 불굴의 반골정신 때문에 부장 승

진에 번번이 누락됐다. 회사에선 열심히

사는 직원보다 무심히 사는 직원이 편리

하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았다. 쉬잇!

<매일한국> 맏형으로 사랑하는

후배들에게 고한다. 침묵하라!

 

박호산

엄성한(박호산)

50대 초반.<매일한국>디지철 뉴스부장

별명 엉성한.

 

"허러면 허고 쉿하라면 쉿하면 되는 거여"

신념 있는 언론인보다 집념 있는 직장인에

적합한 인물이다. 눈치 없을 때는 더럽게

눈치 없고, 눈치 빠를 때는 더럽게

눈치 빠르다. 이름은 엉성해 보여도

기자로서의 능력도, 후배를 대하는 마음도

뛰엄 뛰엄인 법이 없다.

 

이승준

김기하(이승준)

40대 초반.<매일한국>

디지털 뉴스부 기자.

 

허리띠 졸라매고! 정신줄 꼭 붙잡고! 가늘

고! 길게<매일한국>에 오래토록 살아 남

는 게 목표다. 십분이 멀다하고 고성이 난

무하는 사무실에서도 돌부처 텐션을 유지

한다. 아! 그런 그도 부르르 떠는 순간이

있긴 하다. 쉬-할 때?

 

김재철

박명환(김재철)

40대 초반. 매일한국 사장.

 

허무하게 아들을 떠나보내고 좌절에 빠져

있던 때도 있었으나 지금은 인생 제 2막을

준비 중이다. 사람들은 모른다. 매일한국은

그에게 종착역이 아니라

잠시 쉬어가는 정거장임을.

 

경수진

오수연(경수진)

20대 후반.<매일한국>인턴

 

허물을 벗고 날개를 펼치는 그 날을 꿈꾸

며 부단히 노력하고 또 노력했다. 사실 꼭

날아오르지 않아도 괜찮았다. 아무리 발버

둥 쳐도 허물어지지 않는 오해와 편견을

벗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했다. 쉬자 않

고 도착한 이 곳, 매일 한국에서 수연은

그렇게 또 한 번 아름다운 꿈을 꿨다.

 

허쉬 인물관계도

인물관계도

허쉬 시청자 반응

 

황정민이 드라마에 왜나와

드라마가 너무 어둡고 암울하다

황정민 캐릭터가 너무 비호감이다

작가가 황정민 안티다 작가 문제다

등의 반응이 많이 있습니다.

 

황정민 배우가 드라마 찍은건 알기로는

허쉬까지 하면 3개인걸로 알고 있는데

오랜만에 드라마에 나와서 좋았습니다

 

드라마가 아직 초반이지많 초반에는

다소 어둡기는 했습니다

 

1~2회만 봐서 잘 모르겠찌만 드라라

황정민 캐릭터가 비호감 캐릭터로

대중들에게 보여지는것 같습니다

 

저는 1~2화 봤는데 영화 보는것 처럼

재미있었는데 스토리는 좀 암울하기는

했지만 아직 몇회 안해서 더 봐야 할것

같습니다 시청률이 안나오는것 같은데

좀 더 지켜봐야 할듯 합니다

 

제가 볼떄는 배우들의 연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성격상

어쩔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배우분들이 분석하고 공부해서

그 캐릭터에 몰입해서 연기하기 때문에

그냥 보는 입장에서는 그 캐릭터에 속

까지는 이해하지 않을 꺼라 생각해서

많은 반응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금토 드라마 허쉬

 

허쉬의 뜻은

쉿 조용해 침묵 고요

이런 말들을 사용하는데

기자들의 알면서도 어쩔수 없이

침묵해야하는 그런 상황을 보고

만든 제목이라고 생각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